여섯 사람이 청석골서 떠나던 날 임진나루 못 미쳐 동자원 와서 자고 이튿날 식전 나룻가에 왔을 때 강 건너의 배가 좀처럼 오지 아니하여 사장에를 앉아서 한동안 늘어지게 쉬었다. 기다리기 진력이 날 지경에 배가 겨우 건너와서 타기까지 하였으나 사공이 행인 더 오기를 바라고 배를 띄우지 아니하여 서림이가
"여보, 고만 갑시다"
하고 재촉하니 사공은 못 들은 체하고 있었다.
"우리 여섯이 선가를 특별 후히 줄 테니 어서 띄우"
사공이 서림이를 흘깃 돌아보며
"얼마나 줄라구 특별히 준다우"
하고 물었다.
"내가 선가 선셈하지"
서림이가 자기 짐에서 서총대무명 한 필을 꺼내서
"자 이거 선가루 받으우"
하고 사공을 주었다. 서총대무명이 백목만 못한 낮은 무명이지만 그때 시세가 한 필 가지고 쌀을 서너 말 바꿀 수 있었다. 사공이 하루 종일 배빌하여도 쌀서 말거리가 생길지 말지 한 것을 한번에 받았으니 입이 딱 벌어져야 옳건만 사공 욕심 보아라 매매교환에 많이 쓰는 닷새무명을
"이거 석 새 아니오"
"부족한 게 아니라 북덕무명이라두 새가 너무 굵단 말이요"
"자, 갑시다"
"네"
사공이 삿대를 질렀다. 배가 깊은 물에 나와서 삿대를 누여놓고 노질을 시작한 뒤 사공은 서림이를 보고
"멀리 벌이들 나가시우"
하고 물어서
"그렇소"
서림이가 대답하니
"벌이를 잘해서 우리 같은 놈두 좀 먹여 살리시구려"
말하고 껄껄 웃었다.
- 홍명희의 '임꺽정' 중에서-
'Be wri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캐릭터는 무언가를 원한다. (글이 막힐때) (0) | 2014.02.07 |
---|---|
인물묘사의 정석 (이태준 선생님의 문장강화 중) (0) | 2014.02.07 |
내 안에 작가 자아가 있는지 체크해보자 (365작가연습중) (0) | 2014.02.06 |
능동형 동사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기 (0) | 2014.02.06 |
예리한 감각은 예리한 관찰을 선행조건으로 한다. (0) | 201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