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행문은 나그네의 글이다. 글의 배경은 모두 산 설고 물 선 객지다. 길손으로서의 애수가 없을 수 없다. 이 애수란 기행문만이 가질 수 있는 미의 하나이다. - 이태준 선생님의 문장강화
향기로운 mjb의 미각을 잊어버린 지도 20여 일이나 됩니다. 이곳에는 신문도 잘 아니 오고 체전부는 이따금 '하도롱' 빛 소식을 가져옵니다. 거기는 누에고치와 옥수수의 사연이 적혀 있습니다. 마을사람들은 멀리 떨어져 사는 일가 때문에 수심이 생겼나 봅니다. 나도 도회에 남기고 온 일이 걱정이 됩니다.
건너편 팔봉산에는 노루와 묏도야지가 있답니다. 그리고 기우제 지내던 개골창까지 내려와 가재를 잡아먹는 '곰'을 본 사람도 있습니다. 동물원밖에서밖에 볼 수 없는 짐승들을 사로잡아다가 동물원에 갖다 가둔 것이 아니라, 동물원에 있는 짐승들을 이런 산에다 내어놓아준 것만 같은 착각을 자꾸만 느낍니다. 밤이 되면, 달도 없는 그믐 칠야에 팔봉산도 사람이 침소로 들어가듯이 어둠 속으로 아주 없어져버립니다.
그러나 공기는 수정처럼 맑아서 별빛만으로도 넉넉히 좋아하는 '누가'복음도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참 별이 도회에서보다 갑절이나 더 많이 나옵니다. 하도 조용한 것이 처음으로 별들의 운행하는 기척이 들리는 것도 같습니다.
객주짓 방에는 석유등잔을 켜놓습니다. 그 도회지의 석간관 같은 그윽한 내음새가 소년시대의 꿈을 부릅니다. 정 형! 그런 석유등잔 밑에서 밤이 이슥하도록 '호까'(연초잡지) 붙이던 생각이 납니다. 베짱이가 한 마리 등잔에 올라앉아서 슬퍼하는 것처럼 고개를 숙이고 도회의 여차장이 차표 찍는 소리 같은 그 성악을 가만히 듣습니다. 그러면 그것이 또 이발소 가위소리와도 같아집니다. 나는 눈까지 감고 가만히 또 자세히 들어봅니다. 그리고 비망록을 꺼내어 머룻빛 잉크로 산촌의 시정을 기초합니다.... (중략)
얼마 있으면 목이 마릅니다. 자릿물-심해처럼 가라앉은 냉수를 마십니다. 석영질 광석 내음새가 나면서 폐부에 한난계같은 길을 느낍니다. 나는 백지 위에 그 싸늘한 곡선을 그리라면 그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청석얹은 지붕에 별빛이 내려쪼이면 한겨울에 장독 터지는 것 같은 소리가 납니다. 벌레소리가 요란합니다. 가을이 이런 시간에 엽서 한 장에 적을 만큼씩 오는 까닭입니다. 이런 때 참 무슨 재주로 광음을 헤아리겠습니까? 맥박소리가 이 방안을 방째 시계를 만들어버리고 장침과 단침의 나사못이 돌아가느라고 양쪽 눈이 번갈아 간질간질합니다...
- 이상의 '산촌여정'
'Be wri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상의 죽음 (김기림 시인의 추도문 중) (0) | 2014.01.23 |
|---|---|
| 파리, 작가들의 카페 장소 모음(다음번 파리여행때 반드시 탐방할 장소다!) (0) | 2014.01.22 |
| 가슴과 손 (0) | 2014.01.21 |
| 서정문 (이태준 선생님의 문장강화중) (0) | 2014.01.21 |
| 작가의 단어(365 작가연습 중) (0) | 2014.01.20 |